카멜 (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멜은 1971년 영국에서 결성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이다. 앤드루 래티머(기타), 더그 퍼거슨(베이스), 앤디 워드(드럼)를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피터 바든스(키보드)가 합류하여 4인조로 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데뷔 앨범 《Camel》을 발매했으며, 이후 《Mirage》, 《The Snow Goose》, 《Moonmadness》 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1970년대 전성기를 맞았다. 1980년대에는 래티머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9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고 투어를 진행했다. 카멜은 심포닉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록, 팝, 재즈, 블루스, 포크, 클래식,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 출신 음악 그룹 - 스몰 페이시스
1965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 스몰 페이시스는 스티브 마리엇, 로니 레인, 케니 존스, 이언 맥래건으로 구성되어 "Sha La La La Lee"와 "All or Nothing" 등의 히트곡으로 1960년대 후반 영국 모드 신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사이키델릭 앨범 발매 후 해체와 재결합을 거쳐 2012년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런던 출신 음악 그룹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 잉글랜드의 록 밴드 - 컬처 클럽
컬처 클럽은 1980년대 뉴 로맨틱과 뉴 웨이브 음악을 선도하며 "Do You Really Want to Hurt Me"와 "Karma Chameleon" 등의 히트곡을 낸 영국의 팝 그룹으로, 보이 조지의 독특한 보컬과 다양한 음악적 장르의 조합이 특징이다. - 잉글랜드의 록 밴드 - 헨리 카우
헨리 카우는 1968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재즈, 록, 현대 클래식, 아방가르드 요소를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인 밴드로, 복잡한 리듬, 즉흥 연주, 다그마르 크라우제의 보컬이 특징이며, 해체 후에도 멤버들의 활동과 함께 음악적 유산이 지속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카멜 (밴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결성 | 1971년 |
해체 | 1984년 |
재결성 | 1991년 |
활동 기간 | 1971년–1984년, 1991년–현재 |
국적 | 잉글랜드, 서리주, 길퍼드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
레이블 | MCA 데람 Gama 제이너스 데카 Camel Productions |
웹사이트 | camelproductions.com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앤드루 라티머 콜린 배스 데니스 클레멘트 피트 존스 |
이전 구성원 | 앤디 워드 피터 바든스 더그 퍼거슨 멜 콜린스 리처드 싱클레어 얀 스헬하스 데이브 싱클레어 키트 왓킨스 크리스 레인보우 데이비드 패턴 폴 버지스 미키 시먼즈 가이 르블랑 톤 스헤르펜첼 |
2. 역사
카멜은 1971년 앤드루 래티머, 앤디 워드, 더그 퍼거슨을 중심으로 결성된 잉글랜드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이다. 이들은 필립 굿핸드-테이트의 백 밴드로 활동하다 피터 바든스를 영입하며 밴드 이름을 '카멜'로 바꾸었다.[5]
1971년 12월, 카멜은 위시본 애쉬의 오프닝 공연으로 첫 무대를 가졌고,[5] 1972년 8월 MCA 레코드와 계약했다.[6] 1973년 데뷔 앨범을 발매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6]
1974년, 카멜은 데람으로 이적하여 2집 《Mirage》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3개월간 투어를 진행했다.[54] 1975년에는 폴 갤리코의 소설 스노우 구스를 바탕으로 한 앨범 《The Snow Goose》를 발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57] 런던 교향악단과 함께 로열 앨버트 홀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1976년 4집 《Moonmadness》 발매 후, 멜 콜린스가 색소폰 연주자로 합류했다. 1977년 더그 퍼거슨이 탈퇴하고,[54][58] 카라반 (밴드)의 리처드 싱클레어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이후 피터 바든스가 탈퇴하고, 카라반 출신 데이브 싱클레어와 얀 스첼하스가 합류했다.
1979년 킷 왓킨스(건반), 콜린 배스(베이스)와 함께 《I Can See Your House from Here》를 발매했다. 1981년에는 오노다 히로를 주제로 한 앨범 《Nude》를 발매했지만, 앤디 워드의 알코올 중독과 약물 남용으로 밴드는 사실상 해체되었다.[61]
1982년, 앤드루 래티머는 다양한 게스트들과 함께 ''The Single Factor''를 발매했다.[16] 1984년에는 ''Stationary Traveller''를 발매하고, 카멜과 데카의 계약이 만료되었다.[17] 래티머는 전 매니저와의 법적 분쟁에서 승리한 뒤 미국으로 이주하여 "캐멀 프로덕션"을 설립했다.[18]
1991년, 래티머는 카멜의 이름을 부활시켜 앨범 ''Dust and Dreams''를 발매하고 이듬해 내한 공연을 가졌다.[63] 1996년에는 ''Harbour of Tears''를 발표하고 이듬해 다시 내한 공연을 가졌다. 1999년 ''Rajaz'' 발매 후 한동안 활동이 끊겼다.[64]
2002년, 피터 버든스가 사망했고, 같은 해 앨범 ''A Nod And A Wink''를 발표했다.[21] 2007년, 래티머가 골수 섬유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골수 이식을 받았다.[47] 2010년경부터 음악 활동을 재개하여 2013년 ''The Snow Goose'' 재현 라이브 투어를 진행했고, 2016년에는 16년 만에 내한 공연을 개최했다.[23][48]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71-1973)
1971년, 앤드루 래티머(기타), 앤디 워드(드럼), 더그 퍼거슨(베이스)은 영국 서리주 길드포드에서 '더 브루(The Brew)'라는 트리오로 활동했다. 이들은 필립 굿핸드-테이트의 백 밴드 오디션을 보고 그의 1971년 앨범 녹음에 참여했다.[53] 이후, 피터 바든스(키보드)와 함께하기로 하고 벨파스트에서 피터 바든스 명의로 공연을 가졌으며, 밴드 이름을 '카멜(Camel)'로 변경했다.[5]카멜의 첫 공연은 1971년 12월 4일, 위시본 애쉬의 오프닝으로 런던 윌섬 포레스트 칼리지에서 열렸다.[5] 1972년 1월부터 정기적인 투어를 시작하여 라이브 밴드로 성장했다.[5] 1972년 8월, MCA 레코드와 계약하고, 1973년 초 데뷔 앨범 《Camel》을 발매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6]
2. 2. 데카/데람 레코드 시절과 전성기 (1974-1981)
1974년, 데카 레코드 산하 데람으로 이적하여 2집 《Mirage》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영국에서는 차트에 오르지 못했지만, 미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3개월간 투어를 했다.[54]1975년 폴 갤리코의 소설 스노우 구스를 바탕으로 한 컨셉 앨범 《The Snow Goose》를 발매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갈리코 측과의 소송을 피하기 위해 앨범 제목을 약간 수정했으며,[57] 런던 교향악단과 함께 로열 앨버트 홀에서 공연했다.
1976년 4집 《Moonmadness》도 성공을 거두었다. 멜 콜린스가 색소폰 연주자로 합류해 이후 정식 멤버가 되었다. 밴드가 재즈로의 전환을 추진하면서 1977년 더그 퍼거슨이 탈퇴했다.[54][58] 《The Snow Goose》와 《Moonmadness》는 모두 BPI에서 실버 레코드를 받았다.[60]
카라반 (밴드)의 리처드 싱클레어가 퍼거슨을 대신해 가입했다. 이 멤버로 《Rain Dances》(1977), 《Breathless》(1978)를 발매했다. 이후 피터 바든스가 탈퇴하고, 카라반 출신 데이브 싱클레어와 얀 스첼하스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 카라반 출신 멤버들이 많아 팬들은 이들을 카라멜(Caravan + Camel)이라고 불렀다.
1979년 킷 왓킨스(건반), 콜린 배스(베이스)와 함께 《I Can See Your House from Here》를 발매했다.
1981년 일본 군인 오노다 히로를 주제로 한 컨셉 앨범 《Nude》를 발매했다. 앤디 워드의 알코올 중독과 약물 남용으로 밴드는 사실상 해체되었다.[61]
2. 3. 앤드루 래티머 주도 시기 (1982-현재)
Andy Ward영어의 알코올 중독과 약물 남용으로 밴드가 사실상 해산된 이후[61], 밴드의 리더 앤드루 래티머는 계약을 이행하고 히트곡을 내놓으라는 데카 레이블의 압박을 받게 되었다. 1982년 초, 래티머는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다양한 게스트 및 세션 음악가들과 함께 앨범 ''The Single Factor''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영국에서 57위에 올랐다.[16]이후 10cc 출신의 폴 버지스와 네덜란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카약의 키보디스트 톤 스케르펜질 등이 참여한 앨범 ''Stationary Traveller''를 1984년에 발매했다.[17] 같은 해, 카멜과 데카의 계약이 만료되었고, 래티머는 전 매니저와의 법적 분쟁에서 승리한 뒤 미국으로 이주하여 다시 밴드를 해체했다.[18]
1984년, 음반 회사 등과의 계약 문제(인세 등 포함) 관련 재판에서 밴드 측(앤드류 래티머 측)의 주장이 대부분 인정되었다. 래티머는 자택을 매각하고 활동 거점을 북미로 옮겨 "캐멀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과거 아카이브와 신규 음원, 매니지먼트 사업 등을 직접 관리하게 되었다.
1991년, 7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래티머는 구 멤버 콜린 배스 등의 도움을 받아 카멜의 이름을 부활시켜 자신의 독립 레이블인 카멜 프로덕션을 통해 앨범 ''Dust and Dreams''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를 콘셉트로 했다.[63] 이듬해 내한 공연을 가졌다.
1996년에는 앨범 ''Harbour of Tears''를 발표하고 이듬해 내한 공연을 가졌다. 아일랜드 대기근을 소재로 한 콘셉트 앨범이었다.
1999년에는 앨범 ''Rajaz''를 발표하고 이듬해 내한했지만, 이후 한동안 활동이 끊겼다.[64]
2002년에는 오리지널 멤버 피터 버든스가 사망했고, 같은 해 앨범 ''A Nod And A Wink''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피터 바덴스에게 헌정되었다.[21]
2006년, 캐멀 프로덕션의 활동 거점을 모국으로 되돌렸다.
2007년 5월, 래티머가 1992년 이후 골수 섬유증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을 그의 아내 수잔 후버가 캐멀 프로덕션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했으며, 병세 악화로 인해 예정되었던 투어를 중단했다. 같은 해 후반에 골수 이식을 받았다.[47]
2008년 9월, "그는 점차 회복하고 있으며, 음악 활동을 재개할 의지를 보였다"는 내용의 글을 후버가 캐멀 프로덕션 공식 뉴스레터에 게재했다. 2010년경부터 음악 활동을 점차 재개했다.
2013년 10월, 세 번째 앨범 ''The Snow Goose''를 완전 재현하는 라이브 투어를 기획, 캐멀의 활동을 재개했다.[23] 2016년에는 16년 만의 내한 공연을 개최했다.[48]
3. 한국과의 관계
카멜은 1979년 첫 내한 공연 이후, 1980년, 1992년, 1997년, 2000년, 2016년, 2018년 등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했다.[48] 특히, 1979년과 1980년 내한 공연은 한국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붐을 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연도 | 공연명 | 장소 | 비고 |
---|---|---|---|
1979년 | Breathless Tour | 불명 | 첫 내한 공연 |
1980년 | I Can See Your House from Here Tour | 불명 | |
1992년 | Dust And Dreams Tour | 불명 | |
1997년 | Harbour Of Tears Tour | 불명 | |
2000년 | Rajaz Tour | 불명 | |
2016년 | PROGRESSIVE ROCK FES 2016 Red Moon Rising Tour in Japan Ichigo Ichie | 히비야 야외 대음악당 오사카 난바Hatch 도쿄 EX 시어터 롯폰기 | 프로그레시브 록 페스티벌 2016의 일환으로 내한 |
2018년 | Moonmadness tour 2018 | 가와사키 CLUB CITTA' |
1979년 내한 공연 실황은 FM 도쿄와 NHK-FM을 통해 방송되기도 했다. (오피셜 부트레그로도 발매)[47] 일본에서는 프로레슬러 마에다 아키라가 카멜의 곡 'Captured'를 입장 테마곡으로 사용하면서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4. 음악 스타일 및 영향
카멜은 앤드루 래티머의 서정적이고 멜로디컬한 기타 연주를 중심으로, 드라마틱한 곡 전개와 콘셉트 음반을 통한 스토리텔링을 특징으로 하는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29] 이들은 록 음악, 팝 음악, 재즈, 블루스, 포크 음악, 클래식 음악,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의 요소를 결합한 음악을 선보였다.[29]
카멜은 심포닉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묘사되기도 한다.[29] 비록 캔터베리 출신은 아니지만, 카라반 (밴드) 등 캔터베리 프로그레시브 록 음악가들과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 캔터베리 신과 연관되어 왔다.[29][30]
특히 카멜은 1980년대 네오 프로그레시브 록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 장르에서 가장 성공적인 밴드인 마릴리온에게도 영향을 미쳤다.[31] 마릴리온의 전 리드 싱어 피시는 카멜의 음악과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2]
오페스의 미카엘 오케르펠트와 포큐파인 트리의 스티븐 윌슨 역시 카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스티븐 윌슨은 카멜의 클래식 앨범 리믹스에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다.[42]
이외에도 여러 트리뷰트 밴드들이 카멜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국가 | 밴드명 | 비고 |
---|---|---|
이스라엘 | The Humps | 카멜의 곡들을 정기적으로 연주[34] |
일본 | Fritha | The Snow Goose 앨범의 곡에서 밴드 이름을 따옴[35] |
스웨덴 | Lady Fantasy | Mirage 앨범의 곡에서 밴드 이름을 따옴[36] |
아르헨티나 | Rockaphonia | 앨범 Fuera de Tiempo에 카멜 트리뷰트 커버 3곡 수록[33] |
이란 | Raha | 카멜의 곡들을 커버[37] |
이집트 | Andromida | 공연에서 카멜의 곡들을 커버[38] |
프랑스 | Mirage | 예스, 제쓰로 툴, 킹 크림슨의 곡들과 함께 카멜의 곡들을 연주[39] |
레바논 | Babel | 2011년 10월 28일에 카멜의 "Storm Clouds"를 즉흥 연주[40] |
릭 애스틀리는 빌보드와의 인터뷰에서 처음 본 콘서트가 카멜의 ''The Snow Goose'' 투어였다고 언급하며 "정말 놀라웠다"고 회상했다.[44]
The Tangent의 앤디 틸리슨은 카멜에 대한 트리뷰트로 "Music Inspired by Music Inspired by The Snow Goose"라는 곡을 녹음하여 2016년 솔로 앨범에 발매했다.[45]
프로레슬러 겸 격투가 마에다 아키라는 시합 입장 테마곡으로 카멜의 곡 "Captured (캡쳐드)"를 사용했으며, 자신이 가진 프로레슬링 기술 오리지널 수플렉스에도 "캡쳐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방영하는 TV 아사히 "월드 프로레슬링" 제작팀의 프로그레시브 록 선곡 담당자가 1983년 마에다의 귀국 즈음에 이 곡을 채용한 것이 시초이다. 카멜 멤버 앤드루 래티머는 방일했을 때 이 에피소드를 듣고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47]
5. 구성원
- 앤드루 래티머 – 기타, 플루트, 리코더, 키보드, 타악기, 보컬 (1971년–현재)
- 콜린 베스 –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키보드, 보컬 (1979년–1981년, 1984년–현재)
- 데니스 클레멘트 – 드럼, 타악기, 키보드, 프렛리스 베이스, 리코더 (2000년–현재)
- 피터 존스 – 키보드, 신시사이저, 색소폰, 보컬 (2016년–현재)
5. 1. 이전 구성원
- 피터 바덴스 - 키보드 (1971년-1978년) *2002년 사망[21]
- 더그 퍼거슨 - 베이스 (1971년-1977년)[6][10]
- 앤디 워드 - 드럼 (1971년-1982년)[15]
- 리처드 싱클레어 - 베이스 (1977년-1979년)[12]
- 멜 콜린스 - 색소폰, 플루트 (1977년-1979년)
- 얀 쉘하스 - 키보드 (1978년-1981년)[6]
- 데이브 싱클레어 - 키보드 (1978년-1979년)[12]
- 키트 왓킨스 - 키보드 (1979년-1981년)[6]
- 크리스 레인보우 - 보컬 (1982년-1991년) *2015년 사망
- 데이비드 페이튼 - 베이스 (1982년-1984년)[16]
- 폴 버지스 - 드럼 (1984년-1992년)[17]
- 톤 스케르펜젤 - 키보드 (1984년, 1991년, 1999년)
- 미키 시몬즈 - 키보드 (1991년-1992년)[19]
- 데이브 스튜어트 - 드럼 (1997년-2000년)[20]
- 가이 르블랑 - 키보드 (2000년-2015년) *2015년 사망[24]
6. 음반 목록
카멜은 1973년 데뷔 앨범 ''Camel''을 발매한 이후, ''Mirage''(1974), ''The Snow Goose''(1975), ''Moonmadness''(1976) 등 여러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특히 ''The Snow Goose''는 폴 갤리코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컨셉 앨범으로, 영국 음반 차트에서 22위를 기록하며 밴드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7] 1978년에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실황을 담은 첫 라이브 앨범 ''A Live Record''를 발매했다.
1980년대에도 ''Nude''(1981), ''The Single Factor''(1982), ''Stationary Traveller''(1984) 등의 앨범을 발표했다. ''Nude''는 오노다 히로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컨셉 앨범이다.[13]
1990년대 이후 카멜은 ''Dust and Dreams''(1991), ''Harbour of Tears''(1996), ''Rajaz''(1999), ''A Nod and a Wink''(2002)를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13년에는 ''The Snow Goose''의 새로운 확장 버전을 발매했다.[23]
카멜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한국어 제목 | 원제 |
---|---|---|
1973 | 카멜 | Camel |
1974 | 미라지 (신기루) | Mirage |
1975 | 스노우 구스 | The Snow Goose |
1976 | 문 매드니스 | Moonmadness |
1977 | 비의 실루엣 | Rain Dances |
1978 | 브레스리스 - 백억의 밤과 천억의 꿈 - | Breathless |
1979 | 리모트 로맨스 | I Can See Your House from Here |
1981 | 누드의 이야기 - Mr. O의 귀환 - | Nude |
1982 | 싱글 팩터 | The Single Factor |
1984 | 스테이셔너리 트래블러 | Stationary Traveller |
1991 | 더스트 앤 드림스 분노의 포도 | Dust and Dreams |
1996 | 하버 오브 티어스 항구 도시 코브의 이야기 | Harbour of Tears |
1999 | 라자스 | Rajaz |
2002 | 노드 앤드 윙크 | A Nod and a Wink |
2013 | 더 스노우 구스 (2013년 버전) | The Snow Goose |
6. 1. 스튜디오 앨범
연도 | 한국어 제목 | 원제 | 비고 |
---|---|---|---|
1973 | 카멜 | Camel | 데뷔 앨범 |
1974 | 미라지 | Mirage | |
1975 | 스노우 구스 | The Snow Goose | 폴 갤리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컨셉트 앨범. 영국 음반 차트 22위 기록.[60] |
1976 | 문매드니스 | Moonmadness | 영국 앨범 차트 15위 기록.[60] |
1977 | 레인 댄스 | Rain Dances | |
1978 | 브레스리스 | Breathless | |
1979 | 여기서 너의 집이 보여 | I Can See Your House from Here | |
1981 | 누드 | Nude | 오노다 히로를 소재로 한 컨셉트 앨범.[61] |
1982 | 싱글 팩터 | The Single Factor | |
1984 | 스테이셔너리 트래블러 | Stationary Traveller | |
1991 | 더스트 앤 드림스 | Dust and Dreams |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를 소재로 한 컨셉트 앨범.[63] |
1996 | 하버 오브 티어스 | Harbour of Tears | 아일랜드 대기근을 소재로 한 컨셉트 앨범. |
1999 | 라자즈 | Rajaz | 낙타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여행을 테마로 한 앨범.[64] |
2002 | 어 노드 앤 어 윙크 | A Nod and a Wink | 피터 바든스에게 헌정된 앨범.[21] |
2013 | 스노우 구스 (재녹음) | The Snow Goose | 1975년 앨범의 재녹음 버전. |
6. 2. 라이브 앨범
연도 | 한국어 제목 | 원제 | 비고 |
---|---|---|---|
1978 | 라이브 판타지아 | A Live Record | 카멜 최초의 라이브 앨범, 2장 구성. LP의 C면과 D면에는 스노우 구스 전곡을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로열 앨버트 홀에서 협연한 라이브 연주가 수록되어 있다.[5] |
1984 | 프레셔 포인트 - 카멜 라이브 - | Pressure Points: Live in Concert | 1984년 5월 11일 해머스미스 오데온에서 열린 캐멀 결성 20주년 기념 라이브 수록. 피터 바덴스가 게스트로 참여하여 수 곡을 연주. (그 외에 멜 콜린스도 참여) |
참조
[1]
웹사이트
Steve Rothery: "People still think Marillion are a Scottish heavy metal band"
https://www.louderso[...]
2018-10-31
[2]
웹사이트
Mikael Akerfeldt of Opeth Discusses Camel's 'Moon Madness'—The Record That Changed My Life
https://www.guitarwo[...]
2018-10-31
[3]
웹사이트
Camel is no rock dinosaur
https://www.jpost.co[...]
2020-08-13
[4]
웹사이트
Phillip Goodhand-Tait singer/songwriter
http://www.pg-t.com/[...]
Pg-t.com
2011-10-27
[5]
AV media notes
Mirage [1989 Reissue] liner notes
Deram Records
[6]
웹사이트
AllMusic Biography
https://www.allmusic[...]
AllMusic.com
2011-10-30
[7]
웹사이트
The Snow Goose
http://www.magenta.c[...]
2013-08-01
[8]
웹사이트
CAMEL
http://www.rockdetec[...]
2013-08-01
[9]
간행물
It's Cheaper To Chop Up Pound Notes
https://newspaperarc[...]
2013-08-01
[1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magenta.c[...]
[11]
웹사이트
Camel's members careers
http://www.magenta.c[...]
[12]
웹사이트
Peter Bardens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21-08-02
[13]
웹사이트
Nude - Camel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8-02
[14]
서적
The Rough Guide to Rock
[15]
웹사이트
Camel Timeline 1964–1981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2011-10-27
[16]
웹사이트
The Single Factor - Camel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8-02
[17]
웹사이트
Stationary Traveller - Camel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8-02
[18]
웹사이트
Magenta Camel faq
http://www.magenta.c[...]
Magenta.co.il
2011-10-27
[19]
웹사이트
MICKEY SIMMONDS band / artist (UK-England) - discography, reviews and details
https://www.proggnos[...]
2021-08-02
[20]
웹사이트
Camel timeline 1982–2000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2011-10-27
[21]
웹사이트
Camel - A Nod and a Wink (album review 2) {{!}} Sputnikmusic
https://www.sputnikm[...]
2021-08-02
[22]
웹사이트
Camel: Never Let Go
https://www.louderso[...]
2021-08-02
[23]
웹사이트
Barbican Arts Centre site
http://www.barbican.[...]
2013-03-21
[24]
웹사이트
Camel's Guy LeBlanc dead at 54
https://www.louderso[...]
2021-07-11
[25]
웹사이트
Camel Forced To Change Keyboard Player For Tour
http://www.progrockm[...]
[26]
웹사이트
Orange Amplification Presents 2014 Progressive Music Awards
http://awards.prog.t[...]
Awards.prog.teamrock.com
2015-04-30
[27]
웹사이트
The Official Camel Website
http://www.camelprod[...]
2021-07-11
[28]
문서
Prog, April 2015
[29]
웹사이트
The Canterbury Scene: The Sound Of The Underground
https://www.louderso[...]
2020-11-20
[30]
문서
Camel
https://www.ondarock[...]
[31]
웹사이트
Pop/Rock » Art-Rock/Experimental » Neo-Prog
http://www.allmusic.[...]
2015-07-28
[32]
웹사이트
"I was an arsehole": Fish looks back on his career and reveals what's next
https://www.louderso[...]
2018-10-31
[33]
웹사이트
Detailed Reviews Rockaphonica – 2006 – "Fuera de Tiempo"
http://www.progresso[...]
ProgressoR
2011-10-27
[34]
Youtube
The Humps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1-10-27
[35]
Youtube
Fritha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1-10-27
[36]
웹사이트
Lady Fantasy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08-06-21
[37]
웹사이트
Raha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08-12-30
[38]
웹사이트
Andromida
https://web.archive.[...]
YouTube.com
null
[39]
웹사이트
Camel "Never Let Go" cover by Mirage
https://www.youtube.[...]
YouTube
2010-02-26
[40]
웹사이트
Storm Clouds – Heba Rach from Babel – Camel
https://www.youtube.[...]
YouTube
2011-10-28
[41]
웹사이트
Michael Akerfeldt Of Opeth: 'I'm Very Picky With Songwriting'
https://web.archive.[...]
Ultimate Guitar
null
[42]
웹사이트
Interview: Steven Wilson (solo, Porcupine Tree)
https://web.archive.[...]
2013-06-00
[43]
웹사이트
Interview: Andy Latimer (Camel)
https://web.archive.[...]
Hit-channel.com
2013-12-00
[44]
간행물
Rick Astley Reflects on His First Album, First Concert & the Music That Made Him
http://www.billboard[...]
null
[45]
웹사이트
(Machte Es) Durch
https://andytangent.[...]
null
[46]
Yahoo
【インタビュー/後編】キャメルが2016年5月来日。アンドリュー・ラティマーが日本を語る
https://news.yahoo.c[...]
[47]
Yahoo
【インタビュー/前編】キャメルが2016年5月来日。アンドリュー・ラティマーが日本を語る
https://news.yahoo.c[...]
[48]
ぴあ
英プログレバンドCAMEL、16年ぶり単独来日公演
https://ticket-news.[...]
[49]
Charts Company
CAMEL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www.officialc[...]
[50]
웹인용
Steve Rothery: "People still think Marillion are a Scottish heavy metal band"
https://www.louderso[...]
2017-03-22
[51]
웹인용
Mikael Akerfeldt of Opeth Discusses Camel's 'Moon Madness'—The Record That Changed My Life
https://www.guitarwo[...]
2014-07-28
[52]
웹인용
Camel is no rock dinosaur
https://www.jpost.co[...]
2018-05-09
[53]
웹인용
Phillip Goodhand-Tait singer/songwriter
http://www.pg-t.com/[...]
Pg-t.com
1979-03-25
[54]
웹인용
AllMusic Biography
"{{올뮤직|class=artist [...]
AllMusic.com
null
[55]
웹인용
The Snow Goose
http://www.magenta.c[...]
null
[56]
웹인용
CAMEL
http://www.rockdetec[...]
null
[57]
저널
It's Cheaper To Chop Up Pound Notes
http://newspaperarch[...]
1947-07-17
[58]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magenta.c[...]
null
[59]
웹인용
Camel's members careers
http://www.magenta.c[...]
null
[60]
웹인용
Certified Awards
https://www.webcitat[...]
Bpi.co.uk
null
[61]
웹인용
Camel Timeline 1964–1981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null
[62]
웹인용
Magenta Camel faq
http://www.magenta.c[...]
Magenta.co.il
null
[63]
웹인용
last FM bio
http://www.last.fm/m[...]
Last.fm
2009-02-11
[64]
웹인용
Camel timeline 1982–2000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null
[65]
웹인용
interview with Guy LeBlanc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08-04-20
[66]
웹인용
Camel timeline 2000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null
[67]
웹인용
YouTube Left Luggage
https://www.youtube.[...]
YouTube.com
null
[68]
웹인용
Camel News
http://www.camelprod[...]
Camelproductions.com
null
[69]
웹인용
Barbican Arts Centre site
http://www.barbican.[...]
null
[70]
웹인용
Camel have re-recorded The Snow Goose
http://www.camelprod[...]
Camel Productions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